
Ribbon 구조 (베트람, PSC, silversmith, 젠산티, Nordost)
최근 케이블과 관련해 많은 실험을 통해서 굉장히 재미있고 의미있는 결론을 얻어서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필자는 낮은 capacitance를 가진 순은선 리본케이블을 주로 레퍼런스로 사용했다. 순은선 리본 케이블의 특성은 넓은 표면적 덕분에 중고역이 공급될수 있는 유효 시그널 패스가 넓고 그로 인해서 무대가 넓고 부드럽고 (리본의) 비교적 높은 캐패시턴스 덕분에 릴랙스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낮은 저역은 케이블의 표면으로 부터 깊이를 요구하기 때문에 깊이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리본 케이블은 중고역만이 많이 나오는 저역필터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는 저역이 과하거나 해상력이 없는 시스템에서는 매우 좋은 매칭을 보여주지만 저역주파수가 잘려나간다는 점에서 밸런스 문제를 야기한다.
단순하게 요약하자면 중고역이 좋고 저역이 무르고 힘이 없다.
이런 시스템에서 필자는 HDD->NAS (네트웍서버)->무선라우터->음악재생용 컴퓨터->USB spdif converter->DAC 의 조합으로 디지탈 장비를 구성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많은 실험끝에 오랜시간동안 음원은 NAS를 통해서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했을때 가장 좋은 소리를...